- 위치 : 인문관 4층 414호
- 전화 : 02-3475-2520
초등교육과정 소개

전공 개설 취지
- ‘교육과정’(curriculum)은 학교교육의 내용을 지칭하는 동시에, 그러한 내용을 가르치고 배우는 목적과 방법, 운영체제 등을 이론적, 실제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교육학의 연구 분야임.
- 학교교육의 내용, 방법 및 목적에 대한 성숙한 고찰은 동서양의 오랜 지적 전통을 포괄적이고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써만 이루어질 수 있음.
- 교육과정을 둘러싼 다양한 문제들을 견고한 교육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검토할 수 있는 초등교육 전문가를 양성하고자 함.

전공 교육목표
- 주요 교육사상과 실천을 고찰함으로써 교과의 성격 및 교수·학습의 본질 탐색
- 현대 교육의 심층적 이해와 분석에 요구되는 인식론, 윤리학, 미학, 정치학 등의 논의 탐색
- 교육과정 운영, 교육과정 혁신 및 발전 방향의 모색과 관련된 주요 주제와 방안 탐구

교육과정 편제
- 전공과정은 전공필수과목과 선택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음.
- 전공과정은 교육에 관한 심층적 분석과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철학과 사상, 역사 등을 다루는 과목들과 교육과정의 이해와 실제를 다루는 과목들로 구성되어 있음.
- 학기당 6학점 (2개과목 ) 이수를 표준으로 하며, 3학기부터는 논문연구학점을 1학점씩 이수함 (최대 학기당 9학점 )
- 정규강의 이외에도 학기중이나 방학 중 전공구성원이 모두 참여하는 세미나를 개최하여 연구역량 함양

교육과정 운영
- 최대이수학점 : 학기별 최대 6학점
- 교과목이수 : 전공필수 4과목(12학점), 전공선택 6과목(18) 이수
- 논문연구 : 3학기부터 매학기 1학점 필수 이수(총 3학점)

석·박사과정의 연계성
- 기본 성격
- 교육전문대학원 석사과정 ‘초등교육과정’ 전공은 교육학 전공의 세부 전공 분야로서, 초등현장교원을 대상으로 한 재교육 과정으로서의 성격을 지님.
- ‘초등교육과정’ 전공은 교육전문대학원 박사과정 ‘교육정책 및 리더쉽’ 전공의 세부 전공분야인 ‘교육과정’ 전공 이수를 위한 예비 단계로서의 성격을 지님.
- 교육과정구성
- 석사과정 : 기초이론 및 기초실무 중심
- 석사과정 : 기초이론 및 기초실무 중심
- 석·박사공통교육과정: 석·박사 연계를 위해 공통교과목 운영
교수소개교수명 | 학위 | 전공 | 전화번호 | 연구실 |
---|
김 인 | 교육학박사 | 교육사철학전공 | 02-3475-2523 | 연구강의동 716호 |
박상철 | 교육학박사 | 교육과정전공 | 02-3475-2524 | 연구강의동 701호 |
신춘호 | 교육학박사 | 교육사철학전공 | 02-3475-2527 | 연구강의동 708호 |
노철현 | 교육학박사 | 교육과정전공 | 02-3475-2259 | 연구강의동 704호 |
서용석 | 교육학박사 | 교육과정전공 | 02-3475-2531 | 인문관 406호 |